prevent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중에서(2)

인간의 역사는 지난 1만년경 부터 급진적으로 변화되어왔다. 우리가 주식으로 삼는 곡류와 육류들이... 수 만년전부터 전 세계에 고루 존재했던것이 아니라, 수많은 시행착오속에 여기서 저기로, 저기서 여기로 그 지식과 문화들, 그리고 사람자체가 전파되었던 것이다.

현재도 그러하다. 수많은 식물과 동물들이 전 세계로 퍼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것이다. 현대의 문제점은 식물과 동물의 종자, 생산, 유통자체가 자본의 논리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다. 유기농업 역시 자본의 논리를 피할수 없는 현실... 경쟁과 집적에서 결국 대량화 기계화를 초래하고... 독점적인 유기농만이 살아남을지도 모른다...

현대의 또 하나의 큰 문제점은 몬산토를 필두로한 유전공학에 의해 변형된 식물과 동물의 생산이다... 핵무기, 핵발전소 문제와 더불어 엄청난 사건들을 야기시킬지 모른다...

사족)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독자적인 생각인지 아니면 인용한 건지는 모르지만, '자가촉매작용'이 현대물리의 한 분야인 Chaos이론의 프랙탈과 자기반복이론과 유사하다는데 놀라움을 느낀다^^


**************************************

제러드 다이아몬드 [총,균,쇠]중에서(2)


"대륙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일단 식량이 생산된후에는 이웃한 수렵민들이 그 결과를 보면서 의식적인 선택을 할 수가 있었다. 어떤 경우에는 수렵채집민들이 이웃의 식량생산체계전부를 그대로 받아들였고 어떤 경우에는 그 중에서 몇가지 요소만을 골라서 받아 들였다. 또 어떤 경우에는 식량생산을 전적으로 거부하고 수렵채집민 만으로서만 남아있었다.

유럽동남부인들은 B.C 6000년경부터 서넘아시아의 곡류,콩류,가축을 신속히 받아들였다. 이는 그 지역의 생산성이 비교적 낮아서 경쟁력이 적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프랑스남부,스페인, 이탈리아는 식량생산이 서서히 도입되었다

아시아 본토의 집야적인 식량생산이 일본에 도입된 속도도 역시 느리고 점진적이었다

농경을 시작한다는 결정이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졌다고 다시 말해서 그 이전에는 먹거리를 구할 방법이 없었다는 식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식량생산과 수렵채집은 서로 경쟁하는 '대안적 방식'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지난 10000년동안 나타난 지배적인 결과는 대체로 수렵채집에서 식량생산으로의 전환이었다. 따라서 이런 의문이 생긴다. 수렵채집보다 식량생산이 더 커지게 만든 요인은 무엇이었을까?

주요원인은 네가지로 추려낼수 있는데, 학자들 사이의 논쟁은 주로 그것들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놓고 벌어진다.

1. 야생먹거리 감소 : 기후변화와 인간사냥꾼들의 기술과 수효증가로 대형 포유류가 대부분 멸종, 거대 조류 멸종

2. 작물화 할 수있는 야생식물이 증가: 생산성 향상.

3. 식량생산에 필요한 기술, 도구,저장시설의 계속된 발전 : 누적화의 토대 마련

4. 인구밀도증가와 식량생산발원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적인 관계 :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문제. 식량생산의 도입은 '자가촉매작용(일단 시작된후에는 스스로 촉매작용을 되풀이하여 점점 더 가속화되는 현상)' 이라는 것의 한예가 된다....
식량생산자들은 인구가 훨씬 조밀했기 때문에 굳이 기술, 병원균,직업군인등등 식량생산과 관련된 그밖의 이점들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순전히 숫자만 가지고도 수렵채집민들을 몰아내거나 몰살시킬수 있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