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도 다가오고, 각종 이합집산이 보여지고...
우려스런 인물들도 보여지고...
공평,공정,공개를 원칙으로 삼았다던 제갈량의 글을 보니,
공평,공정,공개를 원칙으로 삼았다던 제갈량의 글을 보니,
인간사는 예나지금이나 비스무리...
ㅋㅋㅋ 나를 이글에 비교해 보니 완전 개차반이다^^ 특히 술퍼먹고 개지랄^^
***********************************
제갈량 장원(將苑) 중에서 (http://blog.daum.net/butte/12386370 에서 퍼옴)
2. 축악(逐惡)
국가와 군대의 폐단에는 다섯 가지 해악이 있다.
첫째는 파당을 만들어 유능한 자를 비방하고 중상하는 것이다.
둘째는 옷을 화려하게 차려입고 특이한 복장으로 타인의 시선을 끄는 것이다.
셋째는 요술에 대하여 허풍을 떨며 신의 조화에 대한 요망한 말로 민중을 현혹하는 것이다.
넷째는 전문적으로 남의 잘못을 염탐하고 사적으로 군중을 선동하는 것이다.
다섯째는 몰래 이해득실을 따져 적과 은밀히 내통하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간사하고 거짓되고 부도덕한 자들이니 가까이 해서는 안 된다.
ㅋㅋㅋ 나를 이글에 비교해 보니 완전 개차반이다^^ 특히 술퍼먹고 개지랄^^
***********************************
제갈량 장원(將苑) 중에서 (http://blog.daum.net/butte/12386370 에서 퍼옴)
2. 축악(逐惡)
국가와 군대의 폐단에는 다섯 가지 해악이 있다.
첫째는 파당을 만들어 유능한 자를 비방하고 중상하는 것이다.
둘째는 옷을 화려하게 차려입고 특이한 복장으로 타인의 시선을 끄는 것이다.
셋째는 요술에 대하여 허풍을 떨며 신의 조화에 대한 요망한 말로 민중을 현혹하는 것이다.
넷째는 전문적으로 남의 잘못을 염탐하고 사적으로 군중을 선동하는 것이다.
다섯째는 몰래 이해득실을 따져 적과 은밀히 내통하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간사하고 거짓되고 부도덕한 자들이니 가까이 해서는 안 된다.
3. 지인성(知人性) -인성의 파악(인물감정)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관찰은 없다. 선과 악은 본질적으로 구별되지만 감정과 외모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아니다. 어떤 이는 외모가 온화하고 선량하나 실제는 매우 간사하기도 하고, 어떤 이는 외관상 공손하지만 속으로는 음허하기도 하며, 어떤 이는 용감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비겁하기도 하고, 어떤 이는 최선을 다하는 듯 하지만 실은 불충하기도한다. 인간을 이해하는 방법에는 다음의 일곱 까지가 있다.
첫째, 어떤 일에 대해 옳고 그름을 물어 그의 지향(志向)을 관찰한다.
둘째, 괴변으로 그를 난처하게 하여 그의 임기응변 능력을 관찰한다.
셋째, 계략에 관한 의견을 물어 그의 식견을 관찰한다.
넷째, 큰 재난의 발생을 알려 그의 용기를 관찰한다.
다섯째, 술에 취하게 하여 그의 품성을 관찰한다.
여섯째, 재물로 유혹하여 그의 청렴성을 관찰한다.
일곱째, 그와 어떤 일을 약정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그의 신뢰도를 관찰한다.
6. 장폐(將弊) -장수의 폐단.
장수의 신분으로 쉽게 범하는 여덟 가지 폐단이 있다.
첫째, 탐욕이 끝이 없는 것이다.
둘째, 현명하고 유능한 사람을 질투하는 것이다.
셋째, 중상모략을 믿고 아첨을 좋아하는 것이다.
넷째, 상대방의 단점에 대해서는 잘 알면서도 자신의 단점은 알지못하는 것이다.
다섯째, 일을 처리함에 있어 우유부단하여 결단력이 부족한 것이다.
여섯째, 주색에 빠지는 것이다.
일곱째, 간사하고 비겁한 것이다.
여덟째, 감언이설을 좋아하는 예의를 지키지 않는 것이다.
27. 승패(勝敗) -승리와 패배의 징후
반드시 이기는 조건에는 다음의 네 가지가 있다.
첫째, 유능한 인재가 윗자리를 차지하고 무능한 자가 아랫자리를 차지한다.
둘째, 전군이 모두 기뻐하고 병사들은 삼가 명령에 복종한다.
셋째, 용감한 전투를 통하여 서로 격려하고 당당한 무예를 통하여 서로 기대를 건다.
넷째, 상과 벌을 통하여 서로 계도한다.
반드시 패하는 징후에는 다음의 네 가지가 있다.
첫째, 적군이 자주 소란을 피우고 병사들이 게으름을 피운다.
둘째, 병사들이 예의와 신의가 없고 군법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셋째, 서로 적을 이용하여 겁을 주고 말끝마다 사리(私利)를 다툰다.
넷째, 개인의 화복(禍福)을 서로 입에 담고 미신적인 언사에 유혹된다.
40. 여사(勵士) -사기독려
용병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위를 수여하여 존경을 받게 하고 재물을 주어 식솔을 봉양하도록 하면 인재가 저절로 모여든다.
둘째, 예절을 갖추어 대하고 신의로 격려하면 부하들은 죽음을 불사한다.
셋째, 끊임없이 은혜를 베풀고 법령이 공명정대하면 부하들은 기꺼이 복종한다. .
넷째, 솔선수범하여 일하면 부하들은 용감하게 싸운다.
다섯째, 선행은 아무리 사소해도 기록하고 공적은 아무리 사소해도 상을 내리면 부하들은 스스로 분발하여 일한다.
41. 자면(自勉) -자구의 노력
성인은 하늘이 준칙으로 삼고 현명한 자는 땅을 법칙으로 삼으며 지혜로운 자는 고인을 본보기로 삼는다. 교만한 자는 비방을 초래하고 경망한 자는 화를 야기하며 말이 많은 자는 신용이 부족하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자는 박정하다. 공이 없는 자에게 상을 내리면 민중들로부터 버림받게 되고 죄 없는 자에게 벌을 주면 인심은 이를 원망하게 되며 기뻐하고 성내는 것이 일쩡하지 않는 자는 멸망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