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ent

레닌 '무엇을 할것인가' 중에서


오늘 한겨레21기사중에서...  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2875.html



속까지 붉은 토마토당, 네덜란드 총선 돌풍 [2012.09.10 제927호]
[장석준의 레프트 사이드 스토리]지속적 유럽통합 비판,
끈질긴 풀뿌리 정치 일궈온 네덜란드 사회당
노동당 젖히고 우파 자유민주인민당과 총선 1당 놓고 박빙 승부



다시 좌파의 근본을 생각케 하다
사회당이 이번 총선에서 내건 핵심 정책은 긴축정책 중단과 복지투자 확대다. 이들 역시 정부 재정의 일정한 삭감이 필요하다는 데는 동의한다. 그러나 이들이 보기에 가위질이 필요한 것은 복지 예산이 아니다. 비효율적인 관료 기구를 손보는 게 우선이다. 국방비도 줄여야 한다. 그리고 고소득자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물려야 한다. 반면 위기를 극복하려면 공공투자를 늘려야 한다. 사회당은 그 대상으로 주거, 에너지 절약, 환경 개선, 공공 교통, 보건 그리고 교육을 제시한다. 사회당의 이런 공약이 지금 복지 축소에 반대하는 네덜란드 민심을 결집시키고 있다.
하지만 사회당의 힘은 정책에만 있지는 않다. 또 다른 중요한 요소가 있다. 다름 아닌 이들의 정치활동 방식이다. 사실 68세대가 만든 정당치고 별로 성공한 사례가 없다. 좌파보다는 ‘녹색’을 강조한 독일 녹색당 정도가 거의 유일한 예외였다. 그런데 네덜란드 사회당은 좌파 정체성을 분명히 하며 성공한 또 다른 희귀한 사례다. 그럴 수 있었던 밑바탕에는 이들의 끈질긴 풀뿌리 정치활동이 있었다.
아직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이던 시절부터 이들은 지역사회에 뿌리내리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이들은 가톨릭 성향의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지역 차원의 정치 쟁점에 대해 지속적인 캠페인을 벌였다. 주류 거대 정당들이 중앙정부의 권력에만 관심을 집중하는 상황에서 신생 사회당의 이런 활동 방식은 유권자들에게 신선하게 다가왔다. 덕분에 사회당은 차츰 지방의회 내에 진지를 구축하게 되었다. 노동운동에 대한 이들의 접근법도 철저한 풀뿌리 방식이었다. 노동당은 노총의 조직적 지지를 받았지만 사회당은 그렇지 못했다. 사회당은 이런 약점을 노동자 당원들의 활발한 실천을 통해 극복해나갔다.
사회당의 독특한 성장사는 주요 지도자들의 이력에 뚜렷이 새겨 있다. 2008년까지 당 대표를 지내며 오랫동안 당의 얼굴 노릇을 해온 얀 마레이니선은 노동자 출신이다. 그의 정치 이력은 24살 때 지방의원에 당선된 것에서 시작됐다. 이후 그는 17년간이나 지방정치 무대에서 활동했고 이를 바탕으로 1994년 사회당 최초의 하원의원으로 당선됐다. 현재 당 대표로서 선거운동을 이끌고 있는 에밀 루머의 경우도 비슷하다. 그의 전직은 초등학교 교사다. 2002년까지도 학교 현장에 있었다. 그러면서 1994년부터 사회당 소속 지방의원으로도 활동했다. 그런 그가 외치는 ‘교육투자 확대’ 공약은 결코 빈말로 들리지 않는다.
많은 이들이 사회당의 이런 당문화에 이 당의 저력이 있다고 지적한다. 네덜란드의 인구 규모에서 이 당의 4만6천여 당원은 결코 적은 수가 아니다. 더구나 사회당원들은 어느 정당의 당원들보다 일상활동에 적극적이다. 사회당 지역조직들이 이런 당원 활동의 구심 역할을 한다. 사회당 지역조직들은 당원들이 참여하는 지역 사회운동을 조직할 뿐만 아니라 한 세기 전 초기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이 그랬던 것처럼 지역센터(‘민중의 집’)를 건설해 노동자들의 일상생활에 접근한다. 이 모든 게 실은 노동당 같은 오래된 정당들이 언제부턴가 까마득히 잊고 있었던 좌파 정당의 본래 모습이다.



기사를 보면서 우리의 현실을 생각해 본다...

레닌의 100여년이 넘은 이글이 왜 이리 현재의 모습같아 보일까...


****************************************

레닌    - 무엇을 할것인가 -  중에서


" 도대체 왜 러시아 노동자들은 인민에 대한 경찰의 야만적인 대우, 종교적 분파에 대한 박해, 농민에 대한 체형, 도리에 어긋난 검열제도, 순수문화사업에 대한 탄압등에 반응하는 활동을 조금도 보여주지 않는 것일까?
경제투쟁이 노동자들을 자극하지 않았기 때문인가? 감지할수 있는 결과물을 약속하였지 않았기 때문인가? 이러한 활동은 긍정적인것이라고는 조금도 가져다 주지 않았기 때문일까?
되풀이 하지만 이러한 이유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해당되지도 않는곳에 비난을 퍼붓는 것이며, 자신의 속물적 실리주의를 노동대중에게 전가시키려는 것에 불과하다.
그것은 대중운동에 뒤쳐져있는 우리자신들에게 책임이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모든 치욕적인 폭압에 대해서 아주 광범위하고 뚜렷하고 신속한 폭로를 아직도 조직화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이제까지 우리는 노동자들에게 가능한 모든문제에 대해 신속한 폭로를 제시했다고 할만한 일들을 아무것도 하지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중에 많은 사람들이 아직까지도 이러한 '정치폭로'를 우리의 본분으로 인정하지 않고... 우리의 미비함과 후진성을 정당화하며 우상화시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