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ent

이백 (李白)의 월하독작 (月下獨酌) 3,4수


정월대보름은 지나가고... 레이디가카의 취임날이네...


이백 신선님의 "근심은 많고 술이 비록 적지만 술을 기울이니 근심이 오지 않네."...
ㅎㅎㅎ 정말 기가 막힌 구절이다^^

에효... 답답한데... 술 한잔 없는 밤이로구나... 먹어도 넘어가질 않을거 같다...




*********************************

이백 (李白)의 월하독작 (月下獨酌) 3,4 수


제3수

3월의 함양성에

온갖 꽃이 대낮에 비단과 같네.

누가 능히 봄에 홀로 근심하는가?

이런 풍경 대하면 곧장 술을 마시네.

궁하고 통함, 장수와 단명은

일찍이 조화옹이 주신것.

한 잔 술에 죽음과 삶이 같아지니

모든 일이 진실로 헤아리기 어렵네.

취한 뒤에는 천지도 잃어버려

멍하니 외로운 베개를 베는구나.

내 몸이 있는 것조차 알지 못하니

이런 즐거움이 최고의 기쁨이로다.







三月咸陽城 千花晝如錦

誰能春獨愁 對此徑須飮

窮通與修短 造化夙所稟

一樽齊死生 萬事固難審

醉後失天地 兀然就孤枕

不知有吾身 此樂最爲甚



제4수


궁핍한 근심 천만 갈래이니

맛있는 술 3백 잔을 들 것이라.

근심은 많고 술이 비록 적지만

술을 기울이니 근심이 오지 않네.

하여 술을 성인에 비유함을 알겠는바

술이 거나해지니 마음이 스스로 한가하네.

곡식을 사절하고 수양산에 누웠고,

자주 텅텅 비어 안회는 굶으면서

당대에 술 마시기를 즐기지 않았으니

그 헛된 이름을 무엇에 쓸 것인가?

게와 가재가 곧 금액이요,

술지게미 언덕이 바로 봉래산이네.

바야흐로 반드시 아름다운 술을 마시고

달빛을 타고 높은 누대에서 취할지어다.


窮愁千萬端 美酒三百杯

愁多酒雖少 酒傾愁不來

所以知酒聖 酒酊心自開

辭粟臥首陽 屢空飢顔回

當代不樂飮 虛名安用哉

蟹蠣卽金液 糟丘是蓬萊

且須飮美酒 乘月醉高臺

댓글 없음:

댓글 쓰기